올 가을 새로 나올 아이폰에 바라는 것이 있는가? 이미 수많은 루머를 통해 디자인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게 되었고 그에 대한 말이 너무나도 많은데, 그 와중에 여전히 나에겐 불만이 하나 있다. 이번에도 3.5mm 오디오 단자는 없을 것이라는 추측. 이어폰 단자가 없는 아이폰 7이 나온지 1년에 가까워지고 있고 애플이 자랑스러운 듯 혁신이라며 단행했던 그 행동을 번복하는 일은 아마도 없을 것 같다만, 그럼에도 내가 새 아이폰에 바라는 것은 3.5mm 오디오 단자를 다시 넣어주는 것이다. 가벼운 에어팟도 좋고 편리한 블루투스 헤드폰도 좋지만, 값비싼 유선 이어폰으로 고급지게 누리던 음악 생활에 애로 사항이 꽃피고 나서 마음 한 구석에 항상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찜찜함 때문.

 

 

 

이건 아니잖아…

아무리 에어팟의 품질이 뛰어나고 편리하다고는 하지만, 나는 그저 지금까지 써왔던 익숙한 내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고 싶을 뿐이었는데… 갑자기 이렇게 묘하게 불편해진 모습은 지금까지도 나에게 배신감을 느끼게 하며 다음과 같은 의식의 흐름으로 인도한다.

 

 

애플이 나에게 이럴 리가 없어! (현실 부정)
도대체 왜! (분노)
그래, 뭐 할 수 없지. 그냥 이렇게라도 들어야지. (타협)
아무리 봐도 이건 좀 너무했어. (탄식)

 

 

 

1년 사이에 이어폰 업체들은 다급한 듯이 라이트닝 플러그를 가진 물건들을 만들기 시작했다. ‘슈어(Shure)’도 예외가 아니었다. 마이크를 비롯한 각종 전문 음향 장비와 고급(비싼) 이어폰으로 유명한 Shure. 아이폰 7과 7 Plus를 사용하면서 프리미엄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는 사람들에게 마치 선물을 하듯, 별도의 케이블을 만들어냈다. MMCX 규격을 가진 라이트닝 케이블(Shure Lighting MMCX Cable RMCE-LTG)이다.

 

 

 

RMCE-LTG는 이렇게 생겼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까.

 

 

 

라이트닝 커넥터다. 라이트닝 단자를 가진 애플 기기라면 어떤 것이든 꽂아서 사용할 수 있다.

 

 

 

MMCX 커넥터다. MMCX는 micro-miniature coaxial. Coaxial이 ‘동축’이라는 뜻이니까 MMCX는 ‘무척 작은 동축’이라고 하면 되겠다. 하긴, 손톱만한 이어폰에 꽂을 수 있으려면 작아야지.

 

고급 이어폰들은 보통 케이블과 유닛을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음질 향상을 위해 케이블까지도 바꾸고 싶은 사람들, 혹은 단선 등으로 망가진 케이블만 쉽게 교체해서 다시 사용하려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오디오 테크니카의 경우 독자적으로 자기네들 규격이 있는데, 보통은 MMCX를 더 많이 쓴다. 대표적으로는 역시 Shure의 이어폰들.

 

 

 

이어 가이드는 오버이어 형태다. 개인적으로 이렇게 귀에 걸쳐서 꽂는 이어폰을 좋아한다. 엉킨 케이블을 풀 때나 귀에 끼울 때는 손이 많이 가지만, 안정감이 생겨서 귀에서 잘 빠지지 않기 때문이다. 걸어 다닐 때 케이블이 덜렁거리지 않아서 터치노이즈도 확연하게 줄어들고.

 

 

 

다만 Shure 제품들이 으레 그렇듯, 케이블의 재질 자체에 대한 아쉬움은 좀 남는다. 부드러운 패브릭으로 한 번만이라도 더 감싸줬다면 참 좋았을 텐데 말이다. 그래도 단선 걱정은 없을 것 같다. 힘이 꽤 있어서 탱탱하다 못해 다소 딱딱하기까지 한 케이블의 움직임이 튼튼하게 느껴진다. 길이는 127cm. 눈으로 봤을 때는 조금 짧은 듯했지만, 스마트폰에 꽂아 밖에서 들고 다닐 때 느슨하지도 팽팽하지도 않은 적절한 길이다.

 

 

 

어쨌든 기존에 갖고 있던 이어폰으로는 이렇게 음악을 들을 수밖에 없었던 비참한 현실을,

 

 

 

이토록 깔끔하게 바꿔준다. 충전과 음악 감상의 2마리 토끼에 대한 아쉬움은 이제 굳이 말로 하지 않으련다. 잘 접어서 마음 속 깊은 곳 서랍에 잘 넣어놔야지.

 

 

 

RMCE-LTG는 일반적으로 MMCX 규격을 가진, 탈부착 가능한 이어폰에 웬만하면 호환된다. Shure 자사의 제품들인 SE846을 비롯해 SE535, SE425, SE315, SE215에는 당연히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 하나의 고급 정보를 공개한다. RMCE-LTG와 호환되는 MMCX 규격의 타사 이어폰 목록이다. 아래의 이어폰들을 사용하면서 아이폰 7 시리즈를 쓴다면, RMCE-LTG의 타겟이다.

 

 

Weston
Ampro 10, Ampro 20, Ampro 30, W10, W20, W30, W40, W50, W60, W80, UM pro10, UM pro20, UM pro30, UM pro50
Sony
XBA-300AP, XBA-A1AP, XBA-A2, XBA-A3, XBA-N1AP, XBA-N3AP, XBA-Z5
Fender
DAX1 Pro, FXA2 pro, FXA5 pro, FXA6 pro, FXA7 pro
AKG
N40
Final
F4100, F7200, LAB II
Audiofly
AF180, AF1120
Oriveti
New primacy, Basic
Hum
Pristine

 

 

 

Shure SE846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어보았다. 참고로 이 이어폰의 가격은 130만원선. 하이엔드 이어폰이다. 그런 만큼, 음향 업체 Shure의 온갖 기술이 집약되어 놀라움을 안겨주는 이어폰이다.

 

나에게 Shure의 이어폰을 제대로 진득하게 들어봤던 기억은 없었다. 스쳐 지나가듯 흘려 들으면 그저 비슷한 소리 아닌가 싶었지만, SE846으로 음악을 감상한지 하루, 이틀, 1주일, 2주일이 지나면서 음악의 결을 있는 그대로 오롯이 전하는 이 감동에 가슴이 벅찼다. 드라이버가 4개 들어있는 ‘쿼드 HD 마이크로 드라이버’ 구조의 위엄이 이런 걸까.

 

 

 

SE846은 유닛 안에 삽입할 수 있는 튜브 필터란 것을 바꿔서 끼울 수도 있다. 이걸 바꾸면 음질이 조금씩 다르다. 이 각각의 튜브 필터는 2kHz~6kHz 범위의 주파수를 조금씩 조정한다. 고음부 영역을 조금씩 손봐서 음질의 인상을 바꿔주는 것이다. 화이트 필터(Bright)의 경우 음악의 느낌을 쨍하고 화사하게 만들고, 블루 필터(Warm)의 경우 조금 부드럽고 담백한 느낌, 블랙 필터(Balance)의 경우 그 가운데 균형적인 사운드 톤을 들려준다. 개인적으로는 화이트 필터를 넣은 후 중저음을 부풀려주는 폼팁을 끼워 듣는 조합이 매우 마음에 들었다.

 

 

 

애플이 아이폰 7에 옛다- 하고 넣어줬던 어댑터에 SE846을 연결했을 때와, RMCE-LTG로 바꿨을 때의 음질적인 차이는 미세하지만 확실하게 느껴진다. 전자가 ‘늦은 밤 거실에 컴퓨터용 2채널 스피커에서 노래가 나온다’라면, 후자는 ‘화창한 오후 3시 거실에 5.1채널 홈씨어터 시스템에서 노래가 꽝꽝 터져 나온다’라고 할까. 음선의 굵기와 비트의 박력, 소리가 이루는 공간감이 모두 업그레이드되는 느낌.

 

 

 

라디오헤드의 곡을 들어본다. OK Computer의 리마스터링 버전이 이번에 ‘OKNOTOK’라는 이름으로 재발매되었다. 1990년대를 대표할 수 있는 음반 중에서 손에 꼽히는 바로 그 앨범. 라디오헤드 특유의 음울한 정서가 어지러운 메시지로 날카롭게 표현된 이 곡들은 리마스터링되면서 세밀한 효과음들이 전보다 훨씬 잘 살아나있다. 리더 Thom Yorke는 해가 갈수록 사운드에 대한 편집증처럼 느껴질 정도로 밴드로서의 하모니보다는 소리 자체가 주는 개성과 임팩트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다. 이번 리마스터링 음반은 기존의 밴드 하모니에 Tom Yorke의 개성적인 사운드 메이킹까지 다시금 잘 빚어서 만들어진 도자기 같다. SE846에 RMCE-LTG를 연결하고 듣는 OKNOTOK는, 흙 속에 묻혀 있던 고대 유물이 박물관에 다시 전시된 듯한 광경이 떠오르게 한다. 눈 앞에서 찬찬히 관람하는 느낌처럼 정갈하고 깊이 있는 사운드를 전해준다.

 

단단하고 그루브한 비트의 Urban 장르와 소규모의 어쿠스틱한 인디 음악에서부터 웅장한 스케일의 클래식까지, 모든 소리를 마치 영화 스크린으로 눈 앞에 펼쳐 보여주는 듯하다.

 

 

 

리모컨에는 DAC이 들어있다. 애플 기기가 라이트닝 커넥터를 통해 음악을 디지털 신호로 보내면 얘가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 소리로 만들어준다. 소리 증폭의 효과도 있다. 그래서 음악을 들을 때 볼륨을 작게 해도 상당히 큰 소리가 난다. 볼륨이 확보된다는 건, 출력이 원래 약한 스마트폰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음악을 감상하기에도 유리하다는 뜻이다. 그래서 리모컨의 크기가 좀 크다. 하지만 커서 좋다. 손에 쥐기도 편하고 버튼을 누를 때도 안정감이 있다. 재생과 정지, 트랙 이동, 볼륨 조절, 시리 소환, 통화 수신은 기본 중의 기본기.

 

 

 

통화 마이크의 위치도 입가에 적절히 위치해서 편하다. 통화 음질도 깨끗 담백하고.

 

 

RMCE-LTG의 가격은 14만5천원. ‘10만원이 넘는 케이블’이라는 딱지를 붙이기 전에, 이렇게 생각해보자. 아이폰 7 시리즈를 쓰는가? 혹은 앞으로 출시될 아이폰을 사용할 계획인가? 그리고 Shure의 이어폰(혹은 MMCX 커넥터가 채용된 이어폰)을 쓰고 있는가? 그렇다면 두 번 볼 것 없이 바로 손에 넣으면 된다.

 

 

장점
– 아이폰 7을 쓰는 슈어 이어폰 유저를 위한 최고의 선물이다.
– MMCX 규격의 이어폰에 웬만하면 다 연결된다.
– 리모컨이 아주 편리하다.
– 통화 품질도 만족스럽다.
– 역시 믿을 수 있는 슈어의 브랜드 파워.
단점
– 패브릭에 대한 그리움을 남기는 케이블 재질
아이폰 7과의 궁합
선명하고 담백한 음질과 빵빵한 음량 확보
MMCX 커넥터의 호환성
리모컨의 편리함
케이블 재질
여러분의 잔고를 보호하거나 혹은 바닥낼 자신으로 글을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