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을 좋아하는 저로서는 굉장한 기회를 손에 얻었습니다만 부담스럽기 짝이 없기도 합니다. 엄청난 몸값을 자랑하는 고음질 음원 플레이어가 도착했기 때문인데요. 무려 백만원이 훌쩍 넘어가는 녀석…아니 분이죠. 아무것도 몰랐던 저는 이걸로 음악을 듣는 순간 정신이 대략 멍해지면서…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1)

 

장점
– 여태껏 들어본 음악 재생기 중에서 가장 좋은 소리를 들려준다.
– 음악과 음질에 빠져들 수 밖에 없게 한다.
– 고급 오디오의 세계에 들어온 걸 환영 받는 느낌이다.
단점
– 음장 효과가 다양하지 않다.
– 인터페이스가 날 것의 느낌이 난다.
– 배터리가 그리 든든하진 않다.
– 일반인에겐 너무 비싸다.
– 이제 고음질의 노예가 된다. 도망쳐도 멀리 가지 못한다.

 

음, 잘 모르겠는데…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2)

처음 들었을 때는 솔직히 뭐가 더 좋은 건지 느낄 수가 없었습니다. 제가 저번에 아이폰에서 코원 플레뉴 D로 음악 감상 플레이어를 업그레이드 하면서 느꼈던 상쾌함보다 더 엄청난 것이 있을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특별한 뭔가는 없었습니다. 적어도 딱 이틀까지는요.

 

백만원도 넘는 디자인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3)

AR-M2는 묵직합니다. 언뜻 보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처럼 생겼습니다. 하지만 함부로 손을 댔다가는 베일 것 같은 엣지가 느껴집니다. 번쩍이는 버튼들도 매력적이죠.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4)

뒤태도 멋집니다. 로고나 글씨가 좀 더 작았다면 훨씬 예뻤을 것 같지만, 이 정도도 괜찮습니다. 충분히 고급스러움을 발산하고 있는 듯 합니다.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5)

음악 재생을 위한 플레이어니까 손가락으로 꼼지락거릴 수 있는 버튼은 필수겠죠? 무엇보다 맘에 드는 건 돌려서 볼륨을 조절하는 톱니바퀴입니다. 평소에 써보니 누르는 방식보다 훨씬 편했습니다. 더 멋있기도 하고요.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6)

미닫이 문처럼 되어 있는 이것은 마이크로 SD카드를 꽂을 수 있는 슬롯입니다. 128GB 카드까지 넣을 수 있습니다. 실리콘 뚜껑이나 그냥 뻥 뚫려있는 것들을 보다가 이런 고급 미닫이 게이트를 보니 든든합니다. 헐겁지도 않고 탄탄하죠.

 

백만원도 넘는 옥체에 걸맞은 청 곤룡포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7)

전용 옷도 있습니다. 다이어리 커버처럼 된 것도 있고 옆 면을 더 잘 보호해주는 것도 있죠. 짙은 에메랄드 색의 가죽 느낌이 블랙과 실버 몸체와 제법 잘 어울리십니다. 안쪽은 부드러운 재질로 옥체를 잘 보존해줍니다. 개인적으로는 다이어리형 케이스가 더 마음에 듭니다. 양면 테이프로 뒷면을 붙이는 방식이 불안하긴 하지만요.

 

어쿠스틱 리서치?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8)

AR-M2를 만든 어쿠스틱 리서치(Acoustic Research)라는 곳은 수십 년 동안 스피커를 비롯한 각종 홈 엔터테인먼트를 제조해 왔던 미국의 유명한 업체입니다. 1960년 전후의 하이파이 오디오 시대에 북셀프 스피커로 이름을 날린 이후, 지금도 그 실력과 매력을 마음껏 뽐내고 있죠. 그런 사람들이 만든 가장 최신 플레이어라 생각하니, 더더욱 마음이 벅차 오릅니다. 그나저나 제가 정말 이런 기계로 음악을 듣게 될 줄은 몰랐어요.

 

필수 준비물, 좋은 헤드폰이나 이어폰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9)

음악을 출력하는 기기도 물론 중요하지만 귀에 직접 소리를 펼쳐주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에 따라서 아주 많이 바뀌죠. 그나마 제가 구할 수 있는 가장 비싼 헤드폰으로 음악을 들었습니다. M&D MH40입니다.

어쨌든 AR-M2로 처음 음악을 듣고 느꼈던 허무함과 의아함은 단 이틀 만에 사라졌습니다. 이걸 이틀을 손에 쥐고 음악에 집중한 저에게 또 하나의 새로운 세계로의 입구를 열어줬죠. 그 입구에 간판이 있네요. 살펴보니 ‘하이파이 오디오의 세계에 온 걸 환영. 들어올 땐 마음대로지만 나갈 땐 아니란다.’라고 써있습니다.

 

공기가 들려요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10)
자켓에서부터 도시남자의 세련미를 발산할 수 있는Gerry Mulligan의 ‘Night Lights’

추운 날씨에 넘나 잘 어울리는 좨즈입니다. 진정한 도시남자가 될 수 있었던 시간이었죠. 오른쪽에서는 포근한 피아노 건반이 마음까지 울리고, 왼쪽에서는 드럼을 브러쉬로 문지르는데 마치 숨을 쉬듯 새근새근하는 소리가 생생하게 들립니다. 그런 와중에 엿가락처럼 진득하고 달콤 쌉싸름한 색소폰이 귀를 감쌉니다. 눈을 감았는데 연주자들이 보이는 듯 합니다. 소리들이 정확히 분리가 되면서도 악기를 다룰 때 느껴지는 공기의 흐름과 현장감이 굉장히 무서울 정도로 생생히 느껴집니다.

이 음원이 flac이기도 했지만, 아무리 재즈라고 해도 음질을 이렇게까지 느낄 수가 없었는데 말이죠. 출력이 좋아서 볼륨을 높여도 깨끗하고 웅장하게 즐길 수 있는 게 좋습니다. 그런데…

 

소리가 커도 너무 크다!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11)

소리가 커도 너무 크네요. 볼륨 휠로 휙휙 돌릴 때마다 깜짝깜짝 놀랍니다. 그럴 땐 이런 임피던스 매칭 케이블을 사용해주면 되는데요. 사실은 소리를 줄인다기보다 이어폰이나 헤드폰에 따라서, 화면을 조작할 때 잡음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런 걸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내 안의 클래시컬 마인드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12)
딱 저런 표정과 포즈가 나오게 하는 음질

그 다음으로 요즘 제가 많이 듣는 클래식 곡은 이겁니다.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이 지휘한 차이코프스키의 세레나데 Op 48 1악장. X JAPAN의 요시키가 콘서트에서 드럼 솔로를 하기 전 한껏 폼을 잡을 때마다 틀어댔던 탓에 저에게는 허세의 클래식으로 자리매김했죠. 역시 악기들이 웅장한 소리를 내뿜습니다. 냉정과 열정사이 OST 같은 음악에서도 마찬가지죠. 첼로 현에 활이 툭툭 닿는 소리까지 들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믿어주세요.

저는 사실 클래식 장르보다는 시끄럽고 비트가 강한 롹을 좋아하는데, 음질을 느끼며 듣다 보니 이렇게 공간을 느낄 수 있는 음악들에 이상하게도 애착이 더 생기는 걸 느낄 수 있었습니다.

 

테크노 음악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13)

그렇다고 전자음이 가득한 노래는 뭘로 들으나 비슷할 거라고 생각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전혀 다릅니다. 비트 하나, 키보드 음 하나가 살아 숨쉬죠. 러블리즈 데뷔 앨범의 ‘Candy Jelly Love’를 예로 들면, 뱃고동 소리와도 같은 베이스 위로 귀엽고 먹음직스러운 전자음들이 하나하나 살아서 톡톡 튀며 귀에 쏟아집니다. 바로 옆에서 불러주는 듯한 귀여운 보컬에 황홀할 지경입니다. 테크노 음악이 이렇게 귀를 행복하게 해주는 음악이란 걸 몰랐던 제가 한심스럽습니다.

 

코원 플레뉴 D가 떨고 있습니다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14)

제가 저번에 샀던 보급형 고음질 플레이어, 플레뉴 D인데요. 잔뜩 웅크린 듯 하네요. 쫄지마. 네가 귀엽긴 훨씬 더 귀여워. 물론 코원 플레뉴 D도 훌륭한 녀석입니다. 20만원대 가격에 비하면요. 음질 좋고 이퀄라이저 음장 종류도 많고 손에 쏙 들어오며 배터리도 오래 가죠.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15)

그에 비해 AR-M2는 커다란 5인치 IPS 디스플레이에 HD 해상도의 한물간 화면, 아이폰 6s 플러스보다도 훨씬 무거운 240g이라는 무게. 게다가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 4.3 젤리빈이라 몇 년 전에나 보던 검은 바탕에 파란 포인트 컬러가 아련한 향수를 느끼게 하죠. 배터리 용량은 4200mAh로 왠만한 태블릿만큼 들어있지만 정작 플레이 시간은 많이 가야 7~9시간. 출퇴근할 때 듣다 보면 하루에 한 번 충전은 필수가 됩니다.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16)

이렇게 크고 무거우며 구닥다리 인터페이스와 조루 배터리를 가진 AR-M2. 하지만, 음질 하나로 모든 단점을 씹어 먹어버립니다. 기본 플레이어에는 이퀄라이저도 단순한데 그마저도 음역대를 강조하고 키우는 게 아니라 오히려 줄이게 되어 있습니다. 근데 이게 매력적이죠. 듣는 이어폰의 성향에 따라, 저음이 많은 이어폰이라면 저음 부분을 이퀄라이저로 살짝 줄여주면 훨씬 깔끔한 소리를 들려주죠. 굳이 EQ를 적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음질이 좋습니다. 음장 양념을 굳이 적용하지 않아도 느낄 수 있는 공간감, 깊이감, 풍성함…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17)

코원 플레뉴 D와는 다르게 DSD 파일도 재생할 수 있습니다. 고음질 음원이라곤 Flac밖에 몰랐는데 이건 또 뭔고 하니, 일반적인 오디오 CD보다 몇 배는 더 좋은 ‘SACD’에서 추출한 음원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말 그대로 CD보다 더 좋은 음질이라는 것. 물론 저의 귀로는 구분할 수 없겠죠. 하지만 이론적으로 더욱 엄청난 음질이란 게 중요합니다. 믿고 들으면 되는 거죠.

 

내 귀가 어쩌다 이렇게까지 된 걸까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18)

그렇게 코원 플레뉴 D에 대한 애정이 조금씩 식어가고 있다는 걸 알아차렸을 때쯤, 생각을 해봤습니다. 어쩌다 이렇게까지 되었는가? 분명 아이폰 하나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하던 때가 있었는데 말입니다. 아이폰이 유튜브로 시청하는 콘서트 영상이라면, 코원 플레뉴 D는 소극장 앞 좌석에서 직접 보는 생생한 공연, AR-M2는 블루스퀘어에서 관람하는 초대형 스케일의 뮤지컬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거보다 더 비싼 수백만원짜리 아스텔앤컨으로 듣는 건 아마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의 가장 좋은 좌석에서 보는 공연이 되겠네요. 물론 호주는 가본 적이 없지만요.

 

스트레스를 받을수록 음질에 집착한다?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20)

고음질 오디오에 빠지는 이유 중 하나는 스트레스 해소라는 말도 있습니다. 타짜 2에서 아귀가 별장에 마련해 놓은 엄청나 보이는 스피커들이나, 파괴된 사나이에 나오는 살인마가 누드인 채로 오디오 룸에서 음악을 듣는 장면이 떠오르네요. 악당이 그만큼 스트레스가 많다는 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보통은 직장인들이 고음질 음악을 듣는 걸 예로 들 수 있는데요. 저도 그런 것 같습니다. 시원하고 깔끔한 음질로 음악을 들으면 몸이 상쾌해지는 기분이 느껴지는 거죠. AR-M2의 깔끔하면서도 힘찬 사운드는 제가 지금까지 들어보지 못했던 차원의 것이었습니다.

 

AR-M2 스펙

– 크기 : 70 x 136 x 15 mm
– 무게 : 240g
– 화면 : 5인치 HD(720 x 1280) IPS LCD
– 운영체제 : 안드로이드 OS 4.3
– 프로세서 : 퀄컴 스냅드래곤 400 MSM8926 / 쿼드코어 CPU Cortex-A7
– DAC : 버 브라운(Burr-Brown) PCM1794A x 1
– 오디오 트랜스리시버 : Cirrus CS8422 x 1
– OP 앰프 : 버 브라운(Burr-Brown) OPA2134 x 2
– 헤드폰 앰프 : Texas Instruments TPA6120A2 x 1
– 내장 용량 : 64GB (128GB Micro SDXC 확장 가능)
– 인터넷 연결 : 802.11b/g/n Wireless LAN
– USB 연결단자 : USB Micro-B (충전, 데이터 전송, USB-OTG)
– Output : Headphone Output(3.5mm stereo mini-jack x 1), Line Output(3.5mm stereo mini-jack x 1)
– 최대 Headphone Output 전압 : 3.7V
– Headphone Output Power
16Ω: 319+319mW
32Ω: 248+248mW
300Ω: 43+43mW
– Line Out : 2V
– 주파수 응답
20Hz – 20kHz (Sampling Rate: 44.1kHz-48kHz)
20Hz – 40kHz (Sampling Rate: 88.2kHz-96kHz)
20Hz – 50kHz (Sampling Rate: 176.4kHz or above)
– 신호대잡음비 : 129dB
– 왜곡률 : 0.001% 이하, full output
– 지원 파일 포맷 : FLAC/ALAC/DSD64/DSD128/WAV/DXD/APE/AIFF/MP3/AAC
– 배터리 : 3.7V 4200mAh 리튬 폴리머 내장형
– 사용 시간 : 9시간(PCM 24bit/192kHz 재생 시), 7시간(DSD128 재생 시)
– 충전 시간 : 약 4시간

 

음악을 가장 멋지고 시원하게 들을 수 있는 기기

acoustic research ar-m2 hi res dap (19)

AR-M2의 가격은 130만원입니다. 엄청나죠. 부피와 무게는 물론이고 사용할 때의 자잘한 불편함들도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AR-M2은 음질 하나 만큼은 그야말로 제가 감히 최고라고 말하고 싶은 녀석…아니 분입니다. 이렇게 무겁고 큰 걸 따로 들고 다니며 음악을 듣는다고? 라고 생각했던 예전의 제 모습이 아련하게 떠오릅니다. 이제는 음질만 좋다면 팔에 암밴드로 항상 감고 다니라고 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더가젯 매장에서 직접 들어볼 수 있도록 셋팅이 되어 있다고 하니, 궁금하시다면 찾아가는 것도 좋겠습니다. 단, 몇 분 들어보고 판단하기 보다는 오랫동안 혹은 꾸준히 들어봐야 진가를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하지만 저는 솔직히 이 기기로 음악을 들을 수 있던 기회를 주신 모든 분들이 원망스럽습니다. 산지 며칠 되지 않은 저의 보급형 DAP 코원 플레뉴 D가 같잖아 보이기 시작했으니까요. 10~20만원 선으로 정해놓았던 이어폰과 헤드폰의 구매 가격 마지노선도 더 높여도 될 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 저한테 왜 그러셨어요. 저 엄마한테 혼난단 말이에요. 참고로 저희 아버지는 지난 수 년 동안 카오디오에 빠져 사시다가 그만…

 

사세요
– 음악을 정말 좋아하고 즐겨 듣는 모든 분
– 스트레스가 많은데 무엇으로 해소해야 할지 찾고 있는 분
– 막귀라도 좋습니다. 좋은 헤드폰으로 음질을 느끼며 들어보세요.
사지 마세요
–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와 올인원 스마트폰의 편리함을 도저히 버릴 수 없는 분
– 이미 아스텔앤컨이나 코원 플레뉴, 소니의 고급 기종 플레이어를 쓰고 있는 분
– 집안의 내무부장관님께 윤허를 받아야 하는 분

 

* 본 리뷰에 사용된 제품은 더가젯에서 제공받았습니다.
디자인
휴대성
음질
음악 듣는 재미
인터페이스
배터리
여러분의 잔고를 보호하거나 혹은 바닥낼 자신으로 글을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