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시장에서 맞붙는 국내 가전 양사의 2021년 주력 모델은 크게 ‘OLED(올레드)’와 ‘QLED’로 주목되는 기술적 혁신은 사실 없다. OLED와 LCD라는 다른 성질의 소재 특성 극대화의 연장선이다. 굳이 기술적 변화를 이야기하면 ‘미니 LED’의 등장이다.

삼성전자는 백라이트 기능의 ‘LED’를 ‘미니LED’로 업그레이드한 ‘Neo(네오) QLED’라는 새로운 플래그십을 내놨다. LG전자도 미니LED를 쓰는 ‘QNED TV’를 곧 출시한다.

“작아져서 밝아진” 미니LED

미니LED TV는 가장 진화된 LCD TV라고 보면 된다.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LCD TV는 광원 역할을 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다. 이 백라이트로 LED를 활용하는 TV가 LED TV다. 이 LED를 아주 작게 만든 TV가 미니LED TV다. 같은 LED를 사용하지만, LED 자체를 훨씬 더 작은 100-200㎛(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로 만들어 결과적으로 LCD 패널 뒤에 LED를 더 촘촘히 배치할 수 있다.

LED는 많을수록 백라이트를 더 잘 제어하고 결과적으로 기존 LCD TV보다 화질이 밝고 선명하다. 미니LED TV는 LED만 많은 것이 아닌 검은색을 표현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의 디밍(Dimming)존도 늘어난다. 이는 주변으로 빛이 희미하게 번지는 블루밍 현상과 같은 시철 몰입을 방해하는 단점이 감소됨을 뜻한다. 그런데 디밍존은 제조사가 밝히길 꺼리는 정보다. 삼성전자가 그렇다.

온라인 발표회에서 삼성전자는 미니LED가 기존 LED보다 40분의 1로 작아지고(높이 기준) 빛을 12비트로 제어해 더 정교한 명암 표현이 가능해졌다고 밝혔을 뿐 정확한 수치의 디밍존은 공개하지 않았다. 영국 AV 전문 매체 <왓하이파이>는 2020년 삼성전자 최상위 모델 ‘Q950TS’가 약 500개의 디밍존을 지원했고 올해 모델은 “10배 더 큰 밀도”라는 삼성전자 설명에서 5천개의 디밍존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확인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반면 LG전자는 제한적이나마 미니LED 개수와 디밍존 구성을 밝혔다. LG전자는 CES 2021에서 QNED TV에 최대 3만개의 LED와 약 2500개의 디밍존이 적용될 것이라고 확인했다. 물론 이는 86인치 모델에 해당한다. 화면이 작아질수록 이 두 값 또한 비례해 줄어들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지금 구입할 수 있는 미니LED TV

상성전자가 가장 다양한 라인업을 갖췄다. 8K 라인업은 2개 시리즈, 3개 사이즈(85·75·65인치)로 5개 모델을 선보이며, 4K는 2개 시리즈, 5개 사이즈(85·75·65·55·50인치)로 9개 모델을 출시한다.

3월3일 출시된 8K 85인치는 1380만원부터 1930만원까지, 75인치는 889만원부터 1380만원까지, 65인치는 589만원이다. 4K는 50인치부터 85인치까지 화면 크기에 따라 229만원부터 959만원까지다.

15mm 두께와 돌출된 부분을 최소화한 ‘인피니티 디자인’이 적용된 네오QLED는 네오 퀀텀 매트릭스 기술과 네오 퀀텀 프로세서를 통한 입력 영상의 화질과 무관하게 8K 또는 4K에 최적화된 영상을 기대할 수 있다. ▲잔상과 흐릿함을 줄이는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 ▲인풋 랙 최단 시간 적용(5.8ms) ▲울트라 와이드 뷰를 통한 21:9, 32:9 비율의 화면 조절 ▲게임 정보를 표시해 주는 게임바 기능도 지원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TV 설치 공간을 분석해 최적화된 사운드를 제공하는 ‘공간 맞춤 사운드+’ ▲영상 속 사물의 움직임에 맞춰 사운드가 스피커를 따라 움직이는 ‘무빙 사운드’ ▲TV와 사운드바 스피커를 활용해 입체감 사운드를 찾아주는 ‘Q 심포니’ 등 사운드 기능도 강화했다.

LG전자 팬은 다음 달까지 기다려야 한다. 내달 출시 예정의 LG QNED TV 라인업은 8K ‘QNED99’ 시리즈의 86인치와 75인치 2개 모델, 4K ‘QNED90’ 시리즈의 86·75인치 2개 모댈 등 4가지다.

LG 나노셀 TV 상위 라인업에 위치하는 QNED TV는 나노셀과 퀀텀닷 기반 기술을 동시에 활용하는 ‘퀀텀 나노셀 컬러 테크놀로지’를 적용한다. TV가 빨간색을 나타낼 때 빨간색의 고유한 파장 외에 노랑, 주황 등 주변 색 파장이 미세하게 섞여 표현될 수 있는데, 퀀텀 나노셀 컬러 테크놀로지는 이때 빛의 파장을 정교하게 조정해 온전한 빨간색을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올해 미니LED TV시장이 최대 300만대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총력전 삼성 Vs 미온적인 LG
기술을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