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평했다, 구부려졌다 콘텐츠에 반응하는 디스플레이가 나온다. LG디스플레이는 오는 11일(현지시간) 개최되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1’에서 게이밍에 최적화된 ‘48인치 벤더블(휘는) CSO(Cinematic Sound OLED) 패널’을 공개한다.

48인치 벤더블 CSO 패널은 종이처럼 최대 1천R(반경 1천mm 원의 휘어진 정도)까지 자유롭게 구부렸다 펼 수 있다. 즉, TV를 볼 땐 평평하고 게임을 할 땐 화면이 구부려지는 커브드 화면이 되는 화면 중앙에서 가장자리까지 균일한 시청거리를 제공해 극대화된 시각적 몰입도를 경험할 수 있다. 얇은 OLED 패널의 장점을 활용하는 새로운 디스플레이의 특징이다.
새로운 디스플레이는 따로 스피커가 필요 없다. OLED 패널 자체가 진동하는 화면에서 소리를 내는 ‘CSO’ 기술이 적용돼 화면 속 등장인물들이 직접 말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생생한 현장감을 기대할 수 있다. 화면이 커브드 모드일 때는 사용자 중심으로 소리가 집중돼 효과가 더욱 극대화된다.
줄어든 두께 또한 새로운 디스플레이의 강점이다. 기존 CSO대비 한 단계 진화된 초박형 필름 CSO 기술을 적용, OLED 패널을 진동시켜 소리를 만드는 부품인 익사이터(Exciter) 두께를 기존 9mm에서 0.6mm로 획기적으로 줄였다. 좀 더 얇고 가벼워지는 완성도 높은 제품으로 이 시장의 상황을 바꿀만한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LG디스플레이와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를 이끌고 있는 삼성디스플레이는 고성능 노트북용 OLED 패널에 집중한다. 현재 전 세계 유일의 노트북용 OLED 패널 공급사인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10종 이상 패널 다변화에 나선다.

코로나19 팬데믹 선언에 ‘집콕’ 문화가 일상화되면서 올해 고사양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고성능 노트북 수요가 두드러질 전망이다. 게이밍 노트북은 OLED 디스플레이와 궁합이 잘 맞는다. 백라이트가 필요한 LCD와 다르게 픽셀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는 특징의 자발광 OLED 디스플레이는 ▲무한대의 명암비가 만들어 내는 차원이 다른 선명하고 입체감 있는 화질, ▲0.1ms의 빠른 응답속도 ▲초당 120장의 화면 재생률 ▲떨림이나 끊김 없는 자연스러운 화면을 제공하는 넓은 가변주파수(40~120Hz Variable Refresh Rate) 같은 장점이 인정되면서 게이밍 제품군 적용이 늘고 있다. 백라이트가 없으니 두께를 쉽게 줄일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현하기 쉽다.
HP와 레노버, 에이수스, 델 등 글로벌 PC 제조사들이 삼성디스플레이 OLED 패널이 적용된 다수의 신제품을 CES 2021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