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마크 달린 전기차와 조우할 날이 머지않았다. 애플이 배터리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린 자율주행차를 2024년 내놓을 전망이다. <로이터 통신>은 익명의 다수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타사에 공급 내지 로봇 택시 서비스가 아닌 아이폰처럼 애플이 소비자 직판을 고려하고 있다.”라며 “애플은 생산 단가를 낮춘 획기적인 주행거리의 새로운 배터리 기술 상용화에 임박했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팀쿡은 만남을 거부했다)

지난 2014년 애플이 자율주행차 개발팀 ‘프로젝트 타이탄’을 비밀리에 운영 중이라는 소식이 외부에 알려졌다. 스마트폰과 컴퓨터 같은 소비재 이외의 제조 경험이 없는 애플은 곧 어려움에 직면했다. 프로젝트 도중 리더를 잃고 갈팡질팡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2018년 애플을 떠나 테슬라 ‘모델3’ 제작을 지휘한 더그 필드를 책임자로 앉히는 전열을 재정비하며 자율주행차 개발 의지를 재확인했다.

전기차는 부품 수도 적고 제조의 난이도도 내연기관차보다 더 쉬울 수 있다. 그럼에도 상용차에는 수많은 부품이 들어가고 부품 조달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프로젝트 타이탄에 몸담았던 익명의 제보자는 <로이터통신>에 “지구상에서 이를 가능케 하는 곳이 있다면 바로 애플”이라고 말했다. 폭스콘이 아이폰을 조립, 공급하듯이 ‘애플카’ 또한 전문 생산라인에서 생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기존 완성차 업체와 손잡고 애플카 시스템을 탑재하는 또 다른 가능성도 내다봤다.

| 애플 아이폰12

애플은 자율주행 구현을 위해 자체 개발한 ‘라이다’ 센서를 탑재할 수 있다. 이미 완성 단계에 접어 들었고 실제로 아이폰12 프로와 신형 아이패드 프로에는 라이다 센서가 탑재됐다.

​상용차를 만드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애플의 아이폰은 작은 컴퓨터가 손안으로 들어온 것 이상의 충격이었다. 애플이 다시 한번 우리의 일상에 새로운 변화를 몰고 올 수 있을까. 대만 경제지 <이코노믹 데일리 타임스>는 최근 애플이 미국 내 공급 파트너로부터 자동차 부품 주문을 늘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5G 시대의 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