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3종류의 ‘M1’ 맥 라인업을 공개했다. 매우 흥분된다. 11월11일 오전 3시 열린 ‘한 가지 소식이 더(One more thing)’ 행사에서 애플은 ARM 기반의 실리콘 칩 M1이 탑재된 13인치 맥북프로와 맥북에어, 맥 미니를 내놓고 인텔 코어 칩을 자체 칩으로 대체하는 기나긴 여정의 첫발을 뗐다.

| ‘탈’ 인텔 최초의 맥 ‘M1’ 라인업

3종류의 신형 맥에 탑재되는 실리콘 칩은 ‘M1’이다. 이 칩은 모바일 기기에서 벗어나 데스크톱 영역에서 제대로 실력을 발휘할까? 애플은 이미 A칩을 아이폰에서 아이패드 프로용으로 변형하면서, 성능을 높이는 데 능숙하다는 것을 잘 보여줬다. 물론 아이폰, 아이패드 프로와 같은 구성이 아니다.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능숙한 더 많은 프로세서와 GPU 코어가 탑재된다. 그리고 몇 가지 트릭(trick)을 가지고 있다.

| 애플이 자체 설계한 ARM 기반 실리콘 칩 ‘M1’

8코어 CPU+8코어 GPU=M1, 성능 지표

M1은 ‘A14’칩이 탑재된 2020년형 아이패드 에어와 아이폰12 시리즈 이상의 성능 향상을 경험할 수 있다. M1은 총 160억 트랜지스터, 고효율의 코어 4개와 성능 코어 4개가 내장됐다. A14는 총 118억 트랜지스터, 고효율 코어 4개와 성능 코어 2개가 내장된다.

이론적으로 늘어난 트랜지스터만큼 고사양 멀티스레드 작업들이 척척 실행된다는 의미다. 애플은 M1 칩이 이전 세대 대비 CPU 성능이 최대 2.8배 더 향상됐다고 전했는데, 여기서 말한 이전 세대 칩은 인텔 코어 칩으로 추정된다.

또한 M1은 애플의 최신 GPU 아키텍처를 특징으로, 8개의 전용 GPU 코어를 갖고 있다. 아이폰12 시리즈 A14보다 2배 많은데 애플은 “상상력의 한계를 뛰어넘는 작품을 제작하고 즐기는 일을 맥북에서 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동영상 편집 앱 파이널 컷 프로 기준 ‘이전 세대 기기’에 비해 5.9배 향상된 그래픽 성능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M1은 또한 애플의 가장 강력한 뉴럴 엔진을 탑재해 머신러닝 코드를 강화했다. 16코어가 초당 11조회의 연산이 가능하다. 이건 A14와 동일한 성능이다.

ARM 기반 맥 출시 루머가 떠돌던 머나먼 옛날 맥용 애플리케이션이 작동될 수준의 강력한 프로세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느냐에 대한 회의론을 일 거에 깨는 M1 칩이 맥북에 탑재되는 것이 전혀 이상해 보이지 않는다.

한 번 충전 20시간 지속 배터리

M1 칩을 탑재한 맥북은 기존 맥북프로처럼 빠르면서도 아이패드 시리즈에 견주는 배터리 사용 시간을 갖는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최근 맥북 시리즈의 배터리는 사실상 성능 향상을 멈췄다. 3년 전 나온 제품과 올 초 제품의 배터리 지속 시간은 거의 차이가 없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10시간을 겨우 쓸 수 있다.

애플은 M1 맥북프로 기준 20시간의 배터리 성능을 구현한다고 소개했다. 58.2와트아워 배터리를 갖는 M1 맥북프로는 웹 검색 17시간, 애플TV 영화 감상 20시간 지속된다. 직전 세대 맥북프로는 각각 10시간에 불과했다. 7시간-10시간가량 더 버틴다. 사실상 한 번 충전해 근무 시간을 온전히 밖에서 보낼 수 있다는 의미다. M1 맥북에어는 18시간이다.

최대 난관은 ‘앱 호환성’

자체 M1 칩으로 이행하는 여정에 난관이 없는 건 아니다. 앱 호환성이다. 앱 호환성 문제는 분명 해결될 것이다. 애플은 인텔 칩에서 M1 칩으로 전환에 2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거라 예상하고 있다. 모토로라 파워PC에서 인텔 칩으로 넘어올 때도 마찬가지였다. 앱 개발사들엔 양쪽 칩에서 다 쓸 수 있는 유니버셜 앱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을 주되, 점차 단종 수순을 밟았다. 애플은 이번에도 차분하게 스텝바이스텝을 밟고 있다.

| M1 맥 라인업은 ‘맥OS 빅서’가 기본 설치 제공된다. 맥OS 빅서는 기존 맥에도 설치할 수 있고 11월13일 정시 배포된다.

우선 지난 6월 WWDC(세계개발자회의)에서 M1 맥 하반기 출시를 밝힌 후 개발자 대상의 실리콘 맥 적응을 돕기 위해 ‘개발자 전환 키트 맥 미니(Developer Transition Kit Mac mini, DTK)’를 공급했다. DTK 하드웨어는 아이패드 프로에 탑재되는 ‘A12Z’ 칩을 품고 맥OS 빅서 개발자 버전과 엑스코드가 포함된 M1 맥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도구다. 또, 기존 인텔 맥용 소프트웨어를 실리콘 맥에서 실행할 수 있는 일종의 번역기인 ‘로제타2’와 iOS, 아이패드OS 앱을 M1 맥에서 실행되도록 맥OS를 다시 설계했다. 11월13일 배포되는 ‘맥OS 빅서’다.

여기까지 읽고 흥미를 잃지 않았다면 내게 맞는 새로운 맥을 고를 차례다.

“3.5배 Speed Up” M1 맥북에어

맥북에어는 애플에서 가장 사랑받고 가장 많이 팔린 노트북이다. 얇고 가벼우며 성능도 대부분의 경우에 충분하고 맥북 라인업에서 가장 저렴하다. M1 맥북에어는 직전 세대에서 최대 3.5배 빠르며 최대 5배 빠른 그래픽 칩, 2배 빨라진 SSD(저장 공간), 트루톤 및 확장된 P3 색영역 지원 13인치 디스플레이, 그리고 새로운 와이파이6가 추가됐고 특히 미국 기준 기본 가격이 999달러(한국은 129만원)로 예전과 같다. 훌륭한 가성비로 돌아왔다.

| M1 맥북에어

키보드는 ‘나비’식 대신 새로운 ‘가위’식으로 바뀌었다. 물론 애플은 이 사실을 절대 인정하지 않겠지만 사용자 거의 대부분은 나비식을 싫어했다. 기술적인 문제도 있었다.

가격은 8코어 CPU+7코어 GPU 기본 모델 129만원, 8코어 CPU+8코어 GPU 고급 모델 163만원부터 시작한다. 메모리는 최대 16GB, 저장 공간은 최대 2TB 옵션을 선택할 수 있고 스페이스 그레이, 골드, 실버 3가지 색상으로 나온다. 국내 출시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

고성능 옵션을 원한다, M1 맥북프로

노트북을 결정하는데 성능은 매우 중요한 요소다. 맥북 라인업의 ‘프로’는 좀 더 빠르고 전원 케이블 없이 더 오래 쓸 수 있다. 성능 옵션을 제외하면 ‘에어’와 유일한 다른 점은 디자인 정도다. 찾아보니 ‘터치ID’가 들어가고 무게는 더 무겁다.

| M1 맥북프로 13인치

8코어 CPU와 16코어 뉴럴 엔진을 탑재한 8코어 GPU가 기본 사양인 M1 맥북프로는 직전 세대보다 최대 2.8배 빠르고 동급 윈도우 노트북보다는 최대 3배 향상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USB4(USB 3.1 2세대)를 지원하는 2개의 썬더볼트 단자, 3.5파이 오디오 단자를 갖고 매직 키보드와 최대 500니트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무게는 1.4킬로그램이다.

M1 맥북프로는 직전 세대와 디자인은 매우 유사하다. 얇은 검은색 베젤이 화면을 감싸고 거대한 트랙패드가 키보드 아래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키보드 양옆에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는 돌비 애트모스가 지원되고 더 이상 빛나는 애플 로고는 없지만 현대적인 애플 노트북임을 단번에 인지할 수 있다.

가격은 8코어 CPU+8코어 GPU, 256GB 기본 모델 169만원, 8코어 CPU+8코어 GPU, 512GB 고급 모델 196만원부터 시작한다. 메모리는 최대 16GB, 저장 공간은 최대 2TB 옵션을 선택할 수 있고 스페이스 그레이, 실버 2가지 색상으로 나온다. 국내 출시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

가장 저렴한 맥 ‘M1 맥미니’

신형 M1 맥미니는 외적인 큰 변화를 기대했던 사람들에게는 당연히 실망스럽겠지만 분명 89만원의 값어치를 하는 맥이다. 맥을 경험하고 싶은 초보자라면 맥미니도 고려 대상에 넣어야 한다. 돈을 아끼면서 새로운 애플 실리콘 맥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준수한 맥을 손에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 M1 맥미니

얇고 네모난 알루미늄 재질 케이스 후면에는 필요한 외부 디스플레이(HDMI) 단자와 2개의 썬더볼트(USB 4) 단자, A타입 USB 단자 2개가 있다. 유선 이더넷과 3.5파이 오디오 잭도 있다.

실버 단일 색상의 M1 맥미니 가격은 8코어 CPU+8코어 GPU, 256GB 기본 모델 89만원, 8코어 CPU+8코어 GPU, 512GB 고급 모델 116만원부터 시작한다. 메모리는 최대 16GB, 저장 공간은 최대 2TB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국내 출시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

“실리콘 맥, 환영합니다.”
애플이 맥북에어와 맥북프로, 맥 미니로 M1 맥의 포문을 연 것을 두 팔 벌려 환영한다. 인상적인 성능과 배터리 지속 시간을 제공하는 13인치 맥북에어와 맥북프로는 충분히 매력적이다. 상대적으로 하드코어 앱 사용자가 적은 맥북 라인업에 우선 M1칩을 적용함으로써 애플은 고성능 실리콘 맥(아이맥, 아이맥 프로, 맥프로) 개발 시간을 벌고 개발자들이 앱을 실리콘 맥으로 컴파일하는 시간도 벌었다. 5년 후 애플이 설계한 시나리오 속 M1 맥은 어떤 모습일지 무척 궁금한 아침이다.

"기대, 설렘, 걱정, 불안"
기술을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