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AffodEEF4ho

구글이 기기를 가리지 않는 완전히 새로운 게임 플랫폼, ‘스태디아(STADIA)’를 선보였다.

구글은 오늘(현지시각 19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GDC2019 키노트를 열고 여기서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을 가리지 않고 네트워크로 4K 60FPS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을 공개했다.

스태디아의 원리를 조금 더 쉽게 정리하자면, 게임 연산은 전 세계에 있는 구글 데이터 서버에서 돌리고 이용자는 컨트롤러로 이에 접속해 화면만 전송받으면서 게임을 진행하는 원리다. 따라서 이용자는 게임을 즐기기 위해 별도의 하드웨어를 준비할 필요 없이, 화면과 컨트롤러를 대체할 기기만 준비하면 된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기에 중간에 데이터를 끼워 넣는 해킹이나 치팅을 최대한 막을 수 있으며, 하드웨어 플랫폼과 관계없이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장점(크로스 플랫폼)도 있다. 실시간 멀티플레이 성능도 강화돼 최대 수백명까지 자연스러운 연결을 지원한다.

또한, 시청자와의 연계도 강화되는 게 특징. 유튜브나 디스코드 등을 활용해 자연스럽게 즐길 수 있고, 게임 내용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도 있다고 한다.

스태디아와 함께 구글은 전용 컨트롤러를 선보이고 직접 시연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유튜브에서 게임 영상을 보다가 버튼 스태디아 컨트롤러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바로 게임을 실행할 수 있었다. 그리고 게임을 즐기는 도중에 게임 상황을 방송으로 보낼 수도 있고, 시청자는 이 방송을 보다가 다시 게임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제 남은 것은 네트워크. 시연상황에서는 별다른 끊김 없이, 그리고 입력 지연 현상 없이 플레이하는 것을 보았다. 그러나 실제 환경에서 스태디아가 어떤 모습을 보일 것인지는 미지수다.

고도의 데이터 연산이 필요한 게임, 4K 60FPS 해상도에 실시간 HDR을 지원하는 게임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주고받으려면 그만큼 고도화된 인프라가 필요하다. 5G의 상용화와 함께 점차 이런 시스템에 희망적인 전망이 늘어가지만, 여전히 기존 인터넷 인프라를 이용하는 이용자도 있을 것이다.

올해 중 북미, 유럽을 대상으로 먼저 적용될 스태디아가 다양한 환경의 이용자에게 얼마나 안정적인 게이밍 경험을 선사할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언뜻 다른 무언가가 생각나게 하는 로고네요.
테크와 브랜드를 공부하며 글을 씁니다. 가끔은 돈을 씁니다.